728x90
반응형
※ R프로그래밍 가이드 책을 읽고 실습을 병행하면서 다시 한번 정리하고 블로그에 복습용 및 나중에 재확인용으로 글을 씁니다.
> x <-c(11,22,33,44,55) //배열 함수c()
> x[6]
[1]NA
x에다가 5개의 값을 넣었는데 6번을 호출하면 NA값이 나옵니다.
그렇다면 NA값은 무엇일까요? Not Available이라는 의미의 줄임말로 값이 없음을 뜻합니다.
이와 비슷한 값으로 NULL값이 있는데 NA와는 같지가 않습니다.
> a<-c(1,NA,2,3)
> a
[1] 1 NA 2 3 //NA 값도 출력이 됩니다.
> b <- c(1,NULL,2,3)
> b
[1] 1 2 3 //NULL 값이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.
책속의 내용에는 NA값에는 메모리에 값을 위한 자리가 있지만 메모리조차 확보하지 못한 값일 것이라고 적혀있다.
> is.na(c(NA,1,2,3))
[1] TRUE FALSE FALSE FALSE
is.na() 함수는 해당 값이 NA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함수인데 많이 쓰이는 함수이다.
그러니 꼭 알아두어야 한다고 합니다.
반응형
'전공 > R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프로그래밍 6. 벡터 서브세팅과 교체 (0) | 2019.06.24 |
---|---|
R 프로그래밍 5. R의 패키지 시스템 (0) | 2019.06.14 |
R 프로그래밍 4.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개념. (0) | 2019.06.10 |
R프로그래밍 3. 값,표현식,문장 (0) | 2019.06.03 |
R프로그래밍 2. 몇가지 통계 함수 (0) | 2019.06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