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값과 표현식
> x<-3
> y<-x+5
2개의 표현식은 하나의 문장(statement)가 된다.
○세미콜론
> x<-3;y<- x+5
R에서는 문장 줄바꿈을 ;(세미콜론)으로 표현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줄바꿈을 사용합니다.
> y
[1] 8
○함수의 부수효과
부수효과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함수를 기준으로 한다. 값을 반환하는 것 이외의 함수 호출의 모든 효과는 부수효과라고 볼 수 있는데, 함수를 기준으로 외부 세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 그 함수는 부수효과를 가진다고 말한다.
- 플롯(그래프)을 출력하는 것
- 파일에 어떤 데이터를 쓰는 것
- 현재 환경의 옵션 등을 바꾸는 것
○비교와 논리 연산
> 3>5 | > 3>=5 | > 3<5 | >3<=5 | > 3==5 | > 3!=5 |
[1] FALSE | [1] FALSE | [1] TRUE | [1] TRUE | [1] FALSE | [1] TRUE |
> x<-c(1,2,3) > y<-c(4,5,6)
x(1,2,3) y(4,5,6) | |||
> x>y (x가 y보다 클 때 True) | FALSE | FALSE | FALSE |
> x<y (y가 x보다 클 때 True) | TRUE | TRUE | TRUE |
> x==y (x와y 가 같을 때 True) | FALSE | FALSE | FALSE |
> x!=y (x와y 가 같지 않을 때 True) | TRUE | TRUE | TRUE |
> x
[1] 1 2 3
> x>1
[1] FALSE TRUE TRUE
이 경우에는 벡터 x의 길이가 3이고, 뒤의 벡터의 길이는 1이기 때문에 두 번째 벡터에서 재활용이 일어나서 c(1,1,1)로 보고 연산이 이루어 진다. 이런 논리형 벡터는 벡터에서 원하는 값들만을 뽑아내는 서브세팅에 유용하게 활용된다.
> x[x>1]
[1] 2 3
> set.seed(1) #난수의 시드 설정.
> xx <- sample(1:100,50,replace=TRUE)
> xx
[1] 68 39 1 34 87 43 14 82 59 51 97 85 21 54 74 7 73 79 85 37 89 37 34 89
[25] 44 79 33 84 35 70 74 42 38 20 28 20 44 87 70 40 44 25 70 39 51 42 6 24
[49] 32 14
> xx[xx>30] //30이상의 값들을 고르는 함수.
[1] 68 39 34 87 43 82 59 51 97 85 54 74 73 79 85 37 89 37 34 89 44 79 33 84
[25] 35 70 74 42 38 44 87 70 40 44 70 39 51 42 32
> xx[xx>30 & xx<50] //30이상 그리고 50 이하인 값들을 고르는 함수.
[1] 40 35 43 37 46 44 49 48 34 31 45
& : AND 연산자
| : OR 연산자
! : 논리 부정 연산자
'전공 > R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프로그래밍 6. 벡터 서브세팅과 교체 (0) | 2019.06.24 |
---|---|
R 프로그래밍 5. R의 패키지 시스템 (0) | 2019.06.14 |
R 프로그래밍 4.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개념. (0) | 2019.06.10 |
R프로그래밍 2. 몇가지 통계 함수 (0) | 2019.06.03 |
R프로그래밍 1. NULL 값과 NA 값. (0) | 2019.06.03 |